-
회사의 자금을 사용하지 않는 사내 대출 : 3자 협약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업무 운영 노하우 & 정보 2022. 11. 25. 18:09
사내 대출에 관한 보증보험은 국내에 딱 한 곳 SGI 서울 보증 보험사를 통해 진행할 수 있습니다. "생활 안정 자금 대출"이라는 보험 상품입니다. 이 상품을 통해 직원이 상환을 하지 않았을때 SGI 서울 보증 보험사가 대신 대출금 전액을 상환합니다. 누구나 이 보증 보험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사내 대출을 하려는 회사가 보증 보험사와 협약이 되어 있어야 하며, 근로자의 기본적인 신용에 문제가 없어야 합니다.
또한 기업과의 협약 과정에서 은행과 연계하여 3자 협약을 맺을 수도 있습니다.
3자 협약을 맺게 되면, 사내 대출금이 은행으로부터 진행되므로 회사의 자금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다음과 같은 장점과 단점이 있습니다.
<장점>
회사의 자금이 소요되지 않습니다.
직원 - 은행 간의 거래이므로 급여재무 담당자의 세무/정산 이슈가 사라집니다.
→ 회사가 사내 대출 복지 제도를 운영하기에 매우 편합니다.
<단점>
은행에서 대출이 진행되므로, 직원의 신용에 영향이 있거나, DSR에 포함됩니다.
사내 기금을 활용하는 것보다 저리가 아닐 수 있습니다(회사에서 이자 지원이 가능합니다)
제 3자 협약은 부실률이 상대적으로 높아, 보증 보험사에서 기업의 심사가 매우 까다롭습니다.
→ 회사가 사내 대출 복지 제도를 도입하기에 어렵습니다.
연계된 은행은 "보증 보험 증권 담보 대출" 이므로, 회수율이 매우 높아(보증 보험사가 보증해주므로) 매우 선호하는 방식이지만, 그렇기에 보증 보험사 측에서는 선호하지 않는 협약 방식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기업 평가가 다면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사내 대출 규정과 정책에 따라서도 협약 가능 여부가 달라집니다.
제 3자 협약 조건이 궁금하다면 언제든지 워크드에 알려주세요.
'업무 운영 노하우 &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내 대출의 자금 용도 설정 (0) 2023.01.12 일회성으로 사내 대출을 해주기 위해 준비해야 할 것 (0) 2022.11.29 직원들에게 이자를 받고 대출을 해주어도 될까요? (0) 2022.11.20 회사에서 대출을 해줬는데 직원이 갚지 않는다면? (0) 2022.11.13 사내 대출은 대부업일까? (0) 2022.11.13